목차
OTT 덤 플랫폼의 종류, 금 비교(넷플릭스, 왓챠, 웨이브 등)
OTT 서브 플랫폼 유형
OTT 서비스는 장르마다 다른 특장점을 내세우며 서비스하는 플랫폼이 존재한다. 영화, 드라마에 강점을 두는 플랫폼, 애니메이션에 강점을 두는 플랫폼 등이 형씨 예이다.
또한 OTT 서비스의 유형은 정해진 것은 없지만, 수익모델에 따라 유형분류가 가능하다.
1) 광고형(AVOD) 플랫폼
수익을 광보 수익으로 책정하여 운영되는 플랫폼 서비스이다. 기업의 입장에서 이익이 적지만 고객이 무척 보면 볼수록 창출할 복 있기 그러니까 박리다매 형식이라고 보는 게 맞다.
콘텐츠는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제작하거나, MCN의 무대상 콘텐츠, 석방 등을 수급하면서 플랫폼을 운영한다.
사용자, 이용자가 몸소 콘텐츠를 제작하고 올리기 그리하여 사용자만 많다면 대개 무한대 수준의 콘텐츠 창출이 가능하고, 고로 기업의 입장에서는 매우 적은 투자로 수익창출이 가능한 구조이다.
대표적인 서비스로 유튜브, 페이스북, 네이버 TV, 카카오 TV 등이 있다.
2) 거래형(TVOD) 플랫폼
용모 콘텐츠 하나당 구매하는 형식의 플랫폼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천차만별의 성향이 있기 때문에 어째서 구매할지가 예측이 힘들다. 그래서 콘텐츠 수급이 힘들고 매우 제한적이라고 볼 운명 있다.
장점으로는 필요한 콘텐츠만 확보하기 그러니까 플랫폼의 성격을 정립할 길운 있고, 그에 따라 플랫폼 분야를 세분화하여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다양하게 줄 길운 있다.
게다 사용자로서도 보고 싶은 콘텐츠를 선택할 이운 있어 이다음 설명할 가입형(SVOD) 종류 플랫폼 비용에 비해 부담이 적다.
3) 가입형(SVOD) 플랫폼
우리가 거의 OTT 플랫폼이라고 알고 있는 넷플릭스, 왓챠, 디즈니 이득 등이 이문 플랫폼에 포함되는데, 월 정액 요금으로 운영되는 서비스이다.
다달이 요금이 책정되어 사용자 확보가 되어있는 상태에서는 수익예상이 어지간히 정확하다.
또한 기간에 따른 콘텐츠 판권을 구매하기 그러니까 거래형(TVOD) 플랫폼에 비해서 콘텐츠 수급에 유리하다. 그럼에도 그런 판권 구매방식은 기업의 입장에서 지출이 굉장히 크다.
4) 혼합형(Hybrid) 플랫폼
가입형과 거래형을 합하여 수익모델을 구성한 플랫폼 서비스이다.
사용자에게 월정액요금과 개별적으로 영상을 구매할 생령 있는 두 개 권한을 부여하여 콘텐츠 선택의 폭을 넓혔다. 티 빙(Tving), 웨이브(Wavve) 등의 플랫폼이 혼합형 플랫폼 유형이다.
OTT 서비스 플랫폼 종류
또 가액 측면에서도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OTT 플랫폼을 선택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다음은 국내에 서비스되고 있는 OTT 플랫폼을 비교해봤다.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아프리카 TV(AfreecaTV), 트위치(Twitch) 등은 제외하였다.)
1) 유튜브 프리미엄(Youtube Premium)
구글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OTT 플랫폼이며, 부동의 사용량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유튜브 프리미엄이다.
이는 기존의 유튜브 붉은 면에서 대체되어 새롭게 무료영화 보는 법 나온 서비스이다. 마찬가지 유튜브 사용자들은 실시간 유튜브 영상을 볼 공양 광고를 제거하기 위해서 가입을 하는 게 주목적이다.
2021년 2월 한국 지향점 10,450원(9,500원 + 부가가치세 950원). iOS 결제 창가 14,000원. 2020년 9월 2일 요금 낯짝 이문 가입자는 구독을 지속할 애걸 가격이 유지된다.
혜택은 다음과 같다.
YouTube Music Premium 구독의 모든 재주 포함 기존의 유튜브 레드를 대체한다.
2) 넷플릭스(NETFLIX)
말이 소요 없는 거대 OTT 플랫폼이다.
유튜브와 같이 양대산맥으로 2016년 역중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름이 만들어진 유래는 인터넷(Net)과 영화(flicks)의 합쳐진 것에서 시작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에 본사가 있으며 영화, 드라마 등 스트리밍 서비스가 주력이다. 2021년 2월 기준, 가격은 다음과 같다.
베이식 표준 프리미엄 월요금 9,500원 12,000원 14,500원 해상도 480p 1,080p 4K + HRD 동시접속 가능인원 1 2 4
3) 왓챠(WATCHA)
2012년 영화에 대해 논평이나 후기, 평가를 기록하는 서비스로 출시된 (주)왓챠에서 2016년 ‘왓챠 플레이’로 지도 개시된 해우 OTT 서비스이다.
2020년에는 ‘왓챠 피디아’로 되처 이름을 바꾸었고, 지금의 왓챠가 ‘왓챠 플레이’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넷플릭스의 맞수로 뜨고 있는 서비스이다.
왓챠에서만 볼 복수 있는 드라마, 영화 작품들이 있으며 로마, 더욱더욱 퍼시픽, 걸스, 왕좌의 경합 등이 있다.
다음은 2021년 2월 시금석 정액제 가격표이다.
베이식 일반 프리미엄 요금 월 4,900원 월 7,900원 월 12,900원 최대한도 화질 2K (1,080p) 4K (2,160p) 동기 재생 1대 4대 뒷받침 기기 모바일 / 태블릿 / PC 모바일 / 태블릿 / PC 스마트 TV(webs 3.0부터) / Android TV / Chromecast
4) 웨이브(WAVVE)
보도 지상파 3사와 SK텔레콤이 뭉쳐 만들어진 OTT 서비스이다.
2019년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기존 OKSUSU와 POOQ가 병합되어 새로운 명칭으로 만들어졌다.
지상파 3사가 참여했기 그리하여 기본적으로 3사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인제 외의 TV 채널의 방송을 VOD로 서비스한다. 2021년 2월 기준, 가격은 다음과 같다.
베이식 표준 프리미엄 가격 7,900원 10,900원 13,900원 제언 화질 HD(720p) FHD(1,080p) UHD 포함(~2,160p) 동시 재생 1 2 4 이용기기 모바일+PC 모바일+PC+TV
기타
여영 플랫폼으로 애니메이션 특화 플랫폼인 ‘라프텔(laftel)’, 체육 특화 플랫폼 ‘스포티비(SPOTS)’ 등이 있으며, 카카오 TV, KT 시즌(Seen), CJ 티 빙(Thing) 등의 멀티 플랫폼도 존재한다.
최근 국외에서는 디즈니+, 애플 TV+, 프라임 비디오(Prime video) 등 거대 IT 기업에서도 OTT 산업에 뛰어들었다.
OTT시작과 의미와 뜻, 그의 종류부터 가격까지 알아봤는데, 끔찍스레 많은 플랫폼이 있고 그에 따른 가격이 제각각이라 선택하기가 쉽지 않았다.
보통은 월정액의 결제 상품들이 많았는데, 부담되지 않는 가격과 좋은 콘텐츠 질 좋은 콘텐츠로 사용자들을 만족하게 해주는 서비스가 되었으면 좋겠다.
또 해외 OTT 기업에 밀리지 않고 환역 OTT가 국외로 진출하여 많은 수입을 거두면 좋겠다.
PS. 넷플릭스 검사 모자이크 망해라